a {
color:red;
}
여기서 a 는 Selector 선택자라고 칭함.
Declaration 선언함
색깔이라는 Property 속성을 빨강이라는 Value 값으로
css 검색 팁
텍스트 크기를 어떻게 하고 싶을 때.
- css text size property
결과 = font-size: 20px;
텍스트 가운데 정렬하고 싶을 때.
- css text center property
결과 = text-align: center
class 선택자 .
id 선택자 #
css 선언의 중복이 일어났을 때
선택자의 우선 순위
id class 그냥 태그
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
박스모델
이 태그들을 하나의 박스라고 생각하면 편함.
화면 전체를 쓰는 태그들은 블럭태그 block level element
딱 자신의 부피만큼 사용하는 태그는 인라인태그 inline element
기본값일 뿐 display 속성을 통해 언제든 바꿀 수 있다.
값 inline, block
*참고 display 값을 none 으로 두면 화면에서 사라짐.
쉽게 확인하고 싶다면
h1 {
border:5px solid red;
}
이렇게 테두리 쳐서 확인해볼것.
border-width:5px;
border-color:red;
border-style: solid;
이걸 짧게 쓴거임
검색해서 확인할때
-css box model
콘텐트 크기 지정할 때
폭 width
높이 height
덩치 padding
간격 margin
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
밑줄을 주고싶다.
테두리를 주면 됨. 그리고 아래만 남기면 됨.
- border-bottom: 1px solid gray;
반응형 웹/ 반응형 디자인 Responsive Web
화면의 크게에 따라서 웹페이지의 각 요소들이 반응해서 최적화된 모양으로 바뀌게 하는 것
이게 필요한 순간이 온다면 미디어 쿼리를 공부하기
css파일의 재사용성 높이기
1. style.css 파일을 만들어서 css 때려넣기.
2. html파일에서 head 내부에 css 링크 달아주기.
<link rel="stylesheet" href="style.css">
모든 html 파일에 css가 작성되어 있다면 모든 html 파일에서 특정 css를 추가해달라 했을 때 귀찮음.
또, 모든 파일의 css가 같은지 다른지 확인하기 매우 번거로움
'cs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CSS word-break로 줄 바꿈 제어하기 (0) | 2025.04.05 |
---|---|
부드러운 애니메이션 효과를 주는 transition (0) | 2025.03.30 |
미디어 쿼리 (반응형 웹 디자인) (0) | 2025.03.18 |
그리드 (0) | 2025.03.18 |
컨테이닝 블록과 포지션 (0) | 2024.11.24 |